[세상사는 이야기] 언문을 한글로 재탄생시킨 헐버트

입력
수정2022.09.19. 오후 5:12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첫 국어정책기관 세우고
띄어쓰기 처음 쓴 미국인
제자 주시경까지 길러내
이어령은 국립국어원 창설
한류는 그들에게 빚졌다


한류 문화의 물결이 5대양 6대주에 울려 퍼지고 있다. K문화의 원천이 무엇일까? 무엇보다 한글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19세기 말 이후 한글 발전에 기여한 한글학자를 상찬한다. 훈민정음 창제 후 수백 년간 천대받아 온 언문(諺文)의 우수성을 발견하고 부녀자의 장롱에서 이를 꺼내 한글로 재탄생시킨 분이 있다. 1886년 육영공원 교사로 조선에 초빙되어 온 벽안의 미국인 호머 헐버트다. 암흑기 조선의 혼을 깨우러 온 가브리엘 천사였다(김동진 역 '헐버트 조선의 혼을 깨우다' 참고).

헐버트는 문자의 단순성과 소리 표현 방식의 일관성에서 한글과 견줄 문자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면서 한국인보다 한글과 한국 문화를 더 사랑했다. 그는 1891년 우리나라 최초의 순한글 세계지리 교과서 '사민필지'를 저술하여 조선 백성을 위한 한글 보급에 앞장서고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렸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 국어정책기관인 국문연구소 창립에 공헌하고 한글 띄어쓰기, 쉼표(,), 마침표(.) 등 맞춤법을 처음 사용하여 한글 근대화에 기여했다. 맞춤법을 배우는 일은 조금 힘들지만 맞춤법을 통해 더해지는 시각적 요소는 문장 자체를 더 풍부하게 하면서 그림의 색깔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했다.

헐버트는 1893년 감리교 선교사로 다시 내한하여 배재학당 교사로 봉직하면서 언어학에 남다른 재능을 지닌 주시경 학생에게 서양 학문을 가르치고 함께 우리말과 글을 연구했다. 그는 책임을 맡고 있던 민간 유일 인쇄출판사인 삼문출판사에 가난한 제자 주시경을 사환으로 일하게 하고 서재필과 함께 창간한 최초 한글신문인 독립신문에 교열 보조로 참여시켰다. 주시경은 훈민정음을 한글로 명명하고 주어, 서술어, 목적어를 도입한 대한국어문법을 썼다. 주시경 선생이 가르친 국어강습소 제자들이 한글 발전에 중추 역할을 했다.

광화문 근처 주시경 마당에 사제의 정을 나누는 헐버트·주시경 조형물이 서 있다. 평생 아리랑 채보를 비롯한 한국 문화 연구와 한국 독립운동에 헌신한 헐버트는 1949년 광복절에 이승만 대통령 초청으로 방한했으나 "나는 웨스트민스터사원에 묻히는 것보다 한국 땅에 묻히길 원한다"는 말을 남기고 갑자기 세상을 떠나 한강변 양화진에 묻혔다.

광복을 찾은 지 45년이 지났으나 우리나라에 법정 국어연구소가 없었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문화 선진국에는 모국어를 연구하는 최고 아카데미가 있다. 1990년 초대 문화부 장관으로 취임한 이어령 교수는 제1호 중점 사업으로 국립국어원 신설 계획을 발표했으나 관련 부처 반대에 부딪혔다. 삼고초려 끝에 국어학자 이어령을 장관에 임명한 노태우 대통령의 배려로 1991년 국립국어원이 설립될 수 있었다. 어문정책 연구의 신기원이 열렸다.

1987년 공업진흥청은 컴퓨터의 KS 한글코드를 완성형 2350자로 공시하였다. 정보화 시대에 한글의 표현을 제약하는 표준화라고 한글학회와 출판계의 비판 여론이 컸다. 문화부는 3벌식 타자기로 유명한 공병우 박사와 이기성 전자출판학회 회장의 자문을 얻어 조합형 한글코드 1만1172자의 도입을 적극 제안하여 1992년 완성형과 조합형을 병행 사용하게 되었다. 시장 논리에 따라 완성형 코드는 사라지고 조합형 한글코드로 정착되었다. 국제규격 ISO10646도 한글 1만1172자를 채택하여 거의 모든 자연, 인간의 소리를 표현하게 되고 한글 세계화의 길이 열렸다. 제2의 훈민정음 창제라 불리는 한글의 과학화 프로젝트였다.

K문화의 외국인 팬덤이 전 세계 1억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제 한글을 더 갈고 다듬어 코리아 르네상스 세기를 열어야 한다. 디지털 AI 시대에 100만 표제어 국어대사전, 전자사전 편찬과 함께 5억 어절 말뭉치 사업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우리말과 글은 한국인의 문화 정체성이며 문화 국가의 뿌리이다.

[신현웅 웅진재단 이사장·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